2026학년도 모집 정원 안내
학과별, 전형별 모집 인원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전략 수립의 첫걸음입니다.
학과 | 모집 학급 | 특별전형 | 일반전형 | 총원 |
---|---|---|---|---|
e-비즈니스과 | 1학급 | 8명 | 21명 | 29명 |
디지털콘텐츠과 | 1학급 | 8명 | 21명 | 29명 |
웹프로그래밍과 | 2학급 | 18명 | 40명 | 58명 |
해킹방어과 | 2학급 | 18명 | 40명 | 58명 |
합계 | 6학급 | 52명 | 122명 | 174명 |
※ 위 내용은 2026학년도 입학전형 예정(안)을 기준으로 하며, 최종 모집요강에서 변경될 수 있습니다.
디미고 입시, 두 개의 길과 전략
일반전형과 특별전형의 핵심 평가 요소를 비교하여, 자신에게 맞는 최적의 길을 선택하고 집중해야 합니다.
내신 성적 환산의 비밀: 전형별 완벽 분석
일반전형 교과 성적 (120점 만점)
국어, 영어, 수학 3과목 성취도를 각 40점 만점으로 환산합니다.
성취도 | 과목별 환산 점수 |
---|---|
A | 40점 |
B | 36점 |
C | 32점 |
※ 위 점수는 2학년 1학기, 2학년 2학기, 3학년 1학기까지 총 3개 학기의 국·영·수 성취도를 각각 점수로 변환하여 모두 합산한 총점입니다. 따라서 3개 학기 동안 꾸준한 성적 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특별전형 교과 성적 (60점 만점)
국어, 영어, 수학 3과목 성취도를 각 20점 만점으로 환산합니다.
성취도 | 과목별 환산 점수 |
---|---|
A | 20점 |
B | 18점 |
C | 16점 |
※ 위 점수는 2학년 1학기, 2학년 2학기, 3학년 1학기까지 총 3개 학기의 국·영·수 성취도를 각각 점수로 변환하여 모두 합산한 총점입니다. 따라서 3개 학기 동안 꾸준한 성적 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학생부 종합평가 (20점) 세부 배점 분석
평가항목 | 배점 | 세부 내용 |
---|---|---|
출결상황 | 6점 | 미인정 결석 0일: 6점, 1~2일: 4점, 3일 이상: 2점 (미인정 지각/조퇴/결과 3회는 미인정 결석 1일로 계산) |
수상경력 | 4점 | 교내상만 반영, 수상 개수 및 수준에 따라 차등 부여 |
자율/동아리/봉사/진로활동 | 6점 | 활동의 구체성, 지속성, IT 연관성 등을 정성평가 |
교과학습발달상황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 |
4점 | 과목별 세특에 기재된 IT 관련 역량, 자기주도성, 학업태도 등을 정성평가 |
일반전형 배점 구조 (총 200점)
내신 성적이 절대적이지만, 'IT 소질·적성검사'가 새로운 변수로 작용합니다.
특별전형 배점 구조 (총 200점)
'활동 증빙 자료' 즉, 포트폴리오의 깊이와 완성도가 당락을 결정합니다.
합격 커트라인 예상 점수 (2025학년도 기준)
1단계: 1차 합격 (서류 전형 / 총 120점)
일반전형
교과 성적 120점 만점으로 1.5배수를 선발합니다. 경쟁이 매우 치열하여, 안정적인 1차 합격을 위해서는 교과 점수 116점 ~ 120점 (주요 과목 올 A 또는 B 1개 이내)을 목표로 해야 합니다.
특별전형
교과 성적(60점)과 활동 증빙 자료(60점)를 합산한 120점 만점으로 2배수를 선발합니다. 포트폴리오의 변별력이 커 점수 예측은 어렵지만, 교과 점수 55점 이상을 확보하고, 대회 수상이나 완성도 높은 프로젝트를 갖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2단계: 최종 합격 (면접 포함 / 총 200점)
일반전형
1차 점수(120점)에 소질적성검사(40점), 면접(20점), 학생부(20점)를 더해 200점 만점으로 선발합니다. 1차 점수가 비슷하므로, 소질적성검사와 면접에서 고득점하는 것이 최종 당락을 결정합니다. 최종 합격 안정권은 185점 이상으로 예상됩니다.
특별전형
1차 점수(120점)에 면접(40점), 자기소개서(20점), 학생부(20점)를 더해 200점 만점으로 선발합니다. 포트폴리오 기반의 기술 면접(40점)이 가장 큰 변수입니다. 최종 합격 안정권은 180점 이상으로 예상되며, 포트폴리오의 질에 따라 크게 달라집니다.
18개월 합격 로드맵
단순 지식 전달을 넘어, 입시와 완벽하게 동기화된 '포트폴리오 생성' 여정입니다.
STEP 1
중2 / 1학기
컴퓨팅 사고력 배양
목표: 코딩의 기초 확립 및 증명
- 스크래치로 원리 이해: 블록 코딩으로 프로그래밍 원리(순차, 반복, 조건)를 시각적으로 체득 후 파이썬으로 전환합니다.
- 알고리즘 기초 훈련: 자료구조(리스트, 딕셔너리)를 배우고 정렬, 탐색 등 기본 알고리즘을 훈련합니다.
- Git 버전 관리 시작: Git과 GitHub를 활용하여 자신의 코딩 학습 과정을 체계적으로 기록하고 관리합니다.
STEP 2
중2 / 2학기
포트폴리오 기반 구축
목표: 웹 기술 습득 및 시각적 결과물 제작
- 반응형 웹 개발: HTML, CSS, JS를 활용해 모든 기기에서 작동하는 개인 포트폴리오 웹사이트를 제작합니다.
- 동적 기능 구현: JavaScript를 통해 간단한 API를 연동하고, 인터랙티브한 웹 기능을 구현하는 경험을 쌓습니다.
- 대회 및 자격증 준비: 정보처리기능사 필기를 준비하고, 디미고 IT 올림피아드 대비 문제 풀이를 시작합니다.
STEP 3
중3 / 1학기
핵심 프로젝트 기획/개발
목표: 자신만의 특색있는 프로젝트 시작
- 심화 트랙 선택 및 학습: 웹(Java/Spring), 보안(리눅스), AI(Pandas) 등 관심 트랙의 핵심 기술을 학습합니다.
- 개인 프로젝트 개발 착수: 아이디어 구상, 기술 스택 선정, 설계, 개발까지 주도적으로 진행합니다.
- 자격증 취득 실행: 리눅스마스터 2급, 네트워크관리사 2급 등 가산점 획득을 위한 자격증 취득을 목표로 합니다.
STEP 4
중3 / 여름방학
포트폴리오 완성
목표: 프로젝트 최종 산출 및 문서화
- 코드 품질 향상: 리팩토링 및 주석 작성을 통해 누가 봐도 이해하기 쉬운 코드를 완성합니다.
- 기술 블로그 작성: 프로젝트 개발 과정, 겪었던 어려움, 해결 방법을 상세히 기록하여 기술적 깊이를 증명합니다.
- 자기소개서 스토리라인 구성: 포트폴리오 경험을 바탕으로 성장 스토리를 구체화하여 자기소개서 초안을 작성합니다.
STEP 5
중3 / 2학기
최종 입시 대비
목표: 실전 면접 완벽 대비
- 자기소개서 최종 완성: 1:1 첨삭을 통해 논리 구조와 표현력을 강화하여 최종본을 완성합니다.
- 실전형 기술 면접: 포트폴리오 기반 압박 질문, 라이브 코딩 등 실전과 같은 모의 면접을 반복 훈련합니다.
- 인성/토론 면접 준비: 최신 IT 트렌드 및 디미고 인재상과 관련된 주제로 토론하며 소양을 기릅니다.
심화 전문 트랙 상세 가이드
특별전형의 핵심, '나만의 무기'가 될 포트폴리오를 만들기 위한 전문 분야별 심화 학습 전략입니다.
웹 프로그래밍 트랙
목표 학과: 웹프로그래밍과, e-비즈니스과
🚀 핵심 학습 기술
- Frontend: React, Vue.js
- Backend: Java (Spring Boot)
- Database: MySQL, MongoDB
- Deployment: AWS, Vercel
💡 포트폴리오 프로젝트 예시
- 학교 생활 관리 웹 (과제, 일정 관리)
- 관심사 기반 커뮤니티 사이트 (익명 게시판)
- 실시간 채팅 기능이 포함된 웹 애플리케이션
해킹 & 사이버보안 트랙
목표 학과: 해킹방어과
🚀 핵심 학습 기술
- System: Linux, Shell Script
- Network: TCP/IP, Wireshark
- Web Hacking: OWASP Top 10, Burp Suite
- Forensics: Autopsy, Volatility
💡 포트폴리오 프로젝트 예시
- 취약한 웹사이트(DVWA) 모의 해킹 보고서
- 네트워크 패킷 분석을 통한 이상 트래픽 탐지
- CTF(Capture The Flag) 대회 문제 풀이 보고서
AI & 데이터 트랙
목표 학과: e-비즈니스과, 디지털콘텐츠과
🚀 핵심 학습 기술
- Python Lib: Pandas, NumPy, Matplotlib
- Machine Learning: Scikit-learn, TensorFlow
- Data Crawling: BeautifulSoup, Selenium
- Game Dev: Pygame
💡 포트폴리오 프로젝트 예시
-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사회 현상 분석 및 시각화
- 이미지 인식을 활용한 간단한 분류 모델 제작
- AI와 대결하는 미니 게임 (오목, 벽돌깨기 등)
합격을 위한 필독서: 추천 교재 가이드
올바른 책 선택은 학습의 효율을 극대화합니다. 로드맵 단계와 IT 소양 함양을 위한 추천 도서 목록입니다.
📚 로드맵 단계별 추천 학습서
STEP 1~2: 기초 다지기 (컴퓨팅 사고력, 웹 기초)
- Do it! 점프 투 파이썬 (이지스퍼블리싱): 프로그래밍 입문자를 위한 최고의 베스트셀러. 쉽고 체계적인 설명이 강점.
- 모던 웹을 위한 JavaScript + jQuery 입문 (한빛미디어): 웹 개발의 기본인 HTML, CSS, JS를 한 권으로 정리.
- 문제 해결을 위한 창의적 알고리즘 (인사이트): 정보 올림피아드 준비생들의 필독서. 문제 해결 능력 향상에 최적화.
STEP 3~4: 심화 트랙 (웹/보안/AI)
- (웹) 스프링 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 서비스 (프리렉): 실무적인 예제로 Java 백엔드 개발과 배포를 경험.
- (보안) 해킹: 공격의 예술 (에이콘출판): 해커의 관점에서 시스템의 취약점을 이해하게 해주는 명저.
- (AI) 핸즈온 머신러닝 (사이킷런, 케라스, 텐서플로 2) (한빛미디어): 실전 예제를 통해 머신러닝의 개념부터 구현까지 학습.
💡 IT 소양 및 상식을 위한 추천 교양서
CODE(코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에 숨어 있는 언어
(인사이트) 컴퓨터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근본 원리를 알려주는 책. 기술 면접의 기반이 될 깊이 있는 지식을 제공.
클라우스 슈밥의 제4차 산업혁명
(새로운현재) AI, 빅데이터 등 미래 기술이 사회를 어떻게 바꿀지 통찰력을 제공. 인성/토론 면접 대비에 유용.
코딩 인터뷰 완전 분석
(인사이트) 글로벌 IT 기업의 기술 면접 문제를 통해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실력을 점검하고 향상시킬 수 있음.
소프트웨어 장인
(길벗) 단순 코더를 넘어, 책임감과 프로 의식을 갖춘 개발자로 성장하기 위한 마음가짐을 다루는 책.